분류 전체보기 (3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주 4.3 사건을 아십니까. 대학살이 벌어진 지옥의 섬 제주 4.3사건을 아십니까.대학살이 벌어진 지옥의 섬 아름다운 제주도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으로, 1948년 4월 3일부터 1945년 9월 21일까지 대학살이 벌어졌다. 일본제국의 패망 이후 남북한의 이념갈등을 발단으로 봉기한 남로당 무장대와 미군정과 국군, 경찰 간의 충돌 과정과, 이승만 정권 이후 미국 정부의 묵인하에 벌어진 초토화 작전 및 무장대의 학살로 많은 주민이 억울하게 희생당한 사건이다. 제주도는 이미 일제에게 가혹한 수탈을 당한 걸로도 모자라 결7호 작전이 시행되어 섬이 초토화될 위기에 처했던 적이 있었고, 1945년 이후부터 종전 전까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제주도는 미군정의 폭정과 사상 최악의 지속적 흉년에 시달렸다. 그야말로 제주도 역사상 최악의 상황이었다고 봐도 무방했을때 4월 3.. 3.15 부정선거의 내용 3.15부정선거의 내용 1960년 3월 15일 치러진 부정선거 한국 헌정사 이래 국회의 의결을 통해 정식으로 무효 처리된 유일한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와 부통령 선거로 한국 선거 사상 최악의 흑역사들 중 하나다. 그리고 이 사건을 기점으로 부정부패로 가쁜 숨을 내쉬던 자유당 정권은 얼마 안 가서 4.19 혁명을 맞고 몰락한다. 1956년 3대 대선에서 이승만은 라이벌인 민주당 대통령 후보 신익희가 유세 중 병사하는 개인적 호재에도 본인 아래에서 장관직을 역임하여 농지개혁을 주도한 진보당 조봉암에게 30% 가량의 득표율을 내주는 충격적인 결과를 받게 된다. 당시 결과는 이승만 약 500만 표, 조봉암 약 220만 표에 투표 당시 상망 상태인 신익희에 대한 추모표가 약 185만 표나 나오는 놀라운 결과였다. .. 중일전쟁의 배경 그리고 일본의 패망 일본은 대륙 침략을 위해 1931년 9월 18일 만주전쟁을 일으키고 중국의 동북지방을 점령하고 지역을 '만주국'이라 하여 그들의 식민지로 만들었다. 이후 일본은 제국주의 야욕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 내륙으로 공격할 빌미를 찾고 있던 차에 1937년 7월 7일 베이징 교외의 작은 돌다리인 '루거우차오에서 일본군과 중국군 사이에 일어난 작은 사건을 빌미로 일방적인 공격을 개시했다. 다리 위에서 사라진 일본군 사병으로 말미암아 확대된 사건은 일본의 조작이었고 중국을 공격하면서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동북아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일본이 일으킨 전쟁임에도 불구하고, 이때에도 '루거우차오사건'또는 '지나사변'이라 하여 선전포고를 하지 않고 전쟁의 의미를 축소하기 위한 의도였다. 또한 이것은 청일전쟁 이후 중국을 국가로 .. 밀란 쿤테라의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속 프라하의 봄은 ? 1984년에 발표된 소설, 사랑에 관한 철학적 담론을 담은 작품으로 , 미국의 뉴스 주간지 (타임)에 의해 1980년대의 '소설 베스트 10'에 선정되었다. 삶의 무게와 획일성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외과의사 토마스와 진지한 삶의 자세로 운명적인 사랑을 믿는 여종업원 출신 테레사, 자신을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속박으로부터 철저히 자유롭기를 원하는 화가 사비나, 그리고 사비나의 애인인 대학교수 프란츠 등 4명의 남녀를 통해 펼쳐지는 서로 다른 색깔의 사랑이야기가 주된 줄거리이다. 무거움과 가벼움의 차이가 동전의 앞뒷면처럼 공존하는 토마스는 테레사와 사비나를 동시에 사랑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한다. 토마스와의 사랑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테라사는 끊임없이 다른 여자를 만나는 토마스의 가.. 안시성 전투에 대하여 안시성 전투에 대하여 645년(보장왕 4) 고구려가 당나라 군대와 안시성에서 벌인 공방전으로 644년 당나라 태종은 상당한 반대여론을 무릅쓰고 고구려 침공을 결심했다. 이를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워 군량,선박,각종 공성구등을 준비하는 한편, 소수의 병력을 파견해 고구려 변경지대의 형세를 정탐했다. 이어 연개소문이 영류왕과 대신들을 살해하고 집권했으므로 성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구실을 내세워 고구려 침공을 실천에 옮겼다. 645년 4월 1일 이세적이 이끄는 당군의 선봉은 회원진 쪽으로 진군하는 척하다가 갑자기 통정진 :지금의 신민 부근 에서 요하를 건너 고구려 침공을 개시하였다. 그들은 고구려의 방어체계를 혼란시키기 위해 신성 :지금의 무순 배관산성, 건안성 :지금의 개평 , 등 여러 성을 동시에 공격했으.. 전쟁의 신 나폴레옹 프랑스 제1공화국의 군인, 독재자, 프랑스 제1제국의 황제이다. 공화국 프랑스를 쿠데타로 집어삼키고 황제에 올라 혁명을 퇴보시켰다는 점에서 당대에도 많은 비판을 받았고 유럽 전부가 휘말리게 된 전쟁으로 많은 인명 피해를 냈다는 점 때문에 부정적 평가가 많지만, 코르시카 출신의 하급 귀족으로 시작해 프랑스 혁명의 혼란한 시대 속에서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통해 프랑스를 승리로 이끌며 당대 세계적 강대국들이 몰려 있던 유럽을 석권하고 황제 나폴레옹 1세가 된 입지전적인 삶을 살았다. 카를 3세 이후 프랑스 최초의 황제가 된 인물이며 나폴레옹 법전과 나폴레옹 전쟁 등의 여러 업적과 사건으로 세계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가 전쟁의 신 그자체라고 불러지게 된것은 그의 타고난 군사적 재능에 있다고 볼수 있다. 그의 .. 베르사유 조약 제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승전국들중 특히 프랑스 제3공화국이 패전국 바이마르 공화국을 재기 불능으로 만들기 위해 무자비하게 뜯어내려한 조약이자 동시에 평화를 위해 만들었으나 실상은 또 다른 전쟁을 일으킨 조약이기도 하다. 그 골자는 엄청난 양의 보상금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무장해제(최소한도로 필요한 군사력만 보유 가능)를 골자로 하는 것으로, 1차 대전 동안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은 영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 등이 주축이 되어 이뤄졌다. 1919년 6월 28일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체결되었다. 이로 인해 변화된 세계질서를 '베르사유 체제'라고 한다. 그러나 이 가혹하면서 동시에 유약한 조약은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새로운 광풍을 불러오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18년.. 3.1운동 ! 유관순을 기억하라! 올해로 3.1운동 100주년이 된다. 3.1절 3.1운동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 바로 유관순이다. 1919년 3월 1일부터 수개월에 걸쳐 한반도와 세계 각지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시민 다수가 자발적으로 봉기, 일본제국의 한반도 강점에 대한 저항권을 행사한 시민 불복종 운동이자 한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으로 꼽힌다. 3.1 독립선언 , 3.1혁명 , 3.1만세운동 , 기미 독립 운동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참가자들은'대한 독립 만세'라는 구호를 앞세워 일본 제국의 무단통치를 거부하고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이는 민중과 지식인의 반향을 일으켜 대규모의 전국적 시위로 발전하였다. 시위가 끝난 뒤에도 그 열기는 꺼지지 않고 각종 후원회 및 시민 단체가 결성되었고, 민족 교육 기관, 조선의 ..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