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에서 인조로 넘어가는 인조반정
조선의 3대 반정 (쿠데타)의 하나로 ,1623년 3월12일 서인 반역 세력이 광해군 및 대북파를 축출하고 능양군 (인조)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연산군 재위기 못지않게 내정이 어지러워 백성의 담세능력이 붕괴직전이었던 사정에 선조의 총애를 받았고 세자 후보중 하나였던 신성군(인빈 김씨 소생)의 동복 아우인 정원군의 장남이였고 유능해서 제거당한 능창군의 친형인 능양군의 개인적 원, 여러 차례 조작된 옥사를 통한 북인의 독주가 불러운 당리당략적인 이해 요소도 있었다. 능양군은 중종처럼 반정 후 대신들의 추대로 왕이 된 것이 아니라 본인이 직접 적극적으로 복수의 칼을 갈며 반정을 주도했다. 아버지가 책봉 의사가 있기도 했던 신성군의 동생이였기에 정치적으로 반정의 명분을 얻기 쉬웠던 것
연산군 때는 내각을 구성하던 신하들마저 연산군에게 등을 돌리고 반정파에 붙었으며 반정파도 이를 선선히 응낙했다. 반면 인조반정은 광해군의 지지 기반인 대북 전체가 타 정파의 공공의 적이 된 판이라 이들 전부를 타깃으로 삼았고, 상당수 북인을 제거했다. 물론 100% 전멸한 것은 아니지만 대북 계열은 '학맥'의 중심이 되는 인물들이 제거당했기 때문에 사실상 당파로서 완전히 소멸, 일부 당색 옅은 실무관료들은 인조나 김류 등의 지원으로 연착륙에 성공했다.
광해군은 분명 혼군이었다. 궁궐 공사를 위한 뇌물 상납액의 많고 적음이나 징세관인 조도사들에 대한 협조 여부로 지방관과 변방 장수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는 등, 한 나라의 국왕이 수탈을 부추기는 막장 짓을 하였다. 지나친 궁궐 공사와 수탈이 얼마나 심했는지 광해군 12년 여름을 기점으로 농민 경제는 확실하게 붕괴 국면에 접어들기 시작한다. 이 무렵에는 "이렇게 가다가는 나라가 망할지도 모른다. " 는 위기감이 중앙과 지방의 관료와 지식인들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퍼져나갔다. 심지어 공정하고 관대하게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관이 탄핵받거나 임기가 만료되어 교체될 경우, 백성들은 자발적으로 돈을 모아 그의 연임 운동을 펼치기까지 했다. 아버지 선조가 여민휴식을 기치로 내세우며 전후복구에 주력했던 것과 정반대의 행보였으며 결과적으로 선조대에 약간이나마 회복시킨 민생은 파탄지경에 이르렀다.
반정 직전 평산 부사였던 이귀는 호랑이 한마리를 잡아 그 가죽을 광해군에게 진상한 뒤, 이렇게 주청한다. 즉 호환으로 인한 피해가 막심하나 경계 지역을 넘어서 쫓을 수 없다. 그러니 착호갑사(호랑이 사냥을 위한 특수 부대)를 경기, 황해 일대에도 파견 가능하게 해주십사고, 광해가 이를 허락하자 사전에 모의한 장단 부사 이서의 군대와 합류해 이 병력이 반정 당일 주력이 된다. 이 와중에 이귀가 작당해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이 들어오자 , 이귀는 무고하다는 상소를 올리며 여역을으로 고변자와 대질 심문하자고 버텼다. 대북 일당이 이귀의 탄핵을 줄기차게 요구했으나 광해군의 비호로 무사했다.
반정 실행 직전, 이이반이 배신해 김신국과 박승종에게 반정 사실을 일러바쳤다. 하지만 연이은 고변으로 감각이 무뎌진 광해군은 후궁들과 연회에 빠져 그 대처를 소홀히 했다. 또 박승종 등 다른 관원들도 뒤늦게 대책을 강구하던 중에, 반정군이 궁중에 들어와 인조반정이 성공하였다. 훗날 인조가 되는 능양군은 1623년 음력 3월 12일 밤, 홍제원에서 김류를 대장으로 삼고 이귀를 호위 대장으로 삼았다.
능양군의 600명~700명의 병력을 필두로 장단의 이서군, 이천의 이중로 군이 속속 합류했다. 그러나 번정 직전 포섭한 이이반이라는 인물이 어찌된 셈인지 내막을 고변해 반정 세력들 사이에서 혼란이 일어났고 특히 대장을 맡기로 한 김류는 집에 틀어막혀 두문불출하자 이에 급한대로 무관인 이괄을 대장으로 창의문으로 진군했다. 게다가 이미 이들과 내통한 훈련대장 이흥립이 창의문을 내어주어 별다른 저항 없이 궁궐을 접수했다. 반정군은 도끼로 돈화문을 부수고 궁궐로 쳐들어 갔고 반정이 성공했다고 느낄 무렵 실화로 화재가 발생했다.
서궁에 유폐 중이던 인목대비는 변고가 발생했음을 전해 듣고 혹여 자신을 해하려는 음모가 아닌가 싶어 궐문을 걸어 잠갔다 . 반저의 수뇌부들이 와서 광해를 폐했으니 문을 열어주길 청했음에도 무시하고 능양군이 직접 와서 설명하고 나서야 미었다. 그리고 기다렸다는 듯 반정 세력을 지지하여 명분을 실어준다. 광해군은 야밤의 기습에 제대로 대처해 볼 겨를 조차 없이 궁궐을 탈출해 의관 안국신의 집에 피신했으나, 얼마안가 밀고자 때문에 붙잡혔고, 결국 폐위된 뒤 유배되었다.
애시당초 능양군 일행은은 대비의 원한을 풀어주기 위해 반정을 저지른 것이 아니었다. 무엇보다 형제를 죽인 광해군을 벌한다는 명분을 내세운 방정세력이 능양군의 숙부인 광해군을 헤치면 반정 명분이 크게 사라진다. 권력이 없던 인목대비는 결국 옥새를 그냥 내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