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사랑의 상징 타지마할
무굴 제국의 수도였던 인도 아그라 시 남쪽에는 궁전 형식의 아름다운 무덤 타지마할이 있다.
잔잔한 야무나 강을 바라보고 있는 타지마할은 황제가 사랑했던 여인에 대한 사랑의 상징이자 제국의 위대한을 천하에 알리는 멎진 건축물이 였다. 무굴 제국의 위대함을 세상에 드러낸 멋진 건축물이며 무굴 황제 샤 자한이 몸타즈 마할 왕비가 편안히 눈감을 수 있도록 만든 안식 처이다.
왕비를 몹시 사랑했던 샤 자한 왕은 22년이나 걸려 타지마할을 완성했다고 한다. 원래 이름은 왕비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몸타즈 마할이였으나, 바뀌어 타지마할로 불리게 된다.
타지마할은 지상 최고의 완변비를 갖춘 건축물로 잘알려져 있는데 순백의 대리석과 수많은 보석들로 지어져 눈이 부시도록 화려한 타지마할은 인류가 간직한 소중한 보물중 하나이다.
스토리를 들여다 보면 무굴 제국의 5대 황제 샤 자한은 보다 넓은 영토를 차지하기 위하여 군대를 이끌고 원정길에 올랐다. 샤 자한과 함께 원정길에 오른 사람들 중에는 왕비인 뭄타즈 마할도 있었는데, 뭄타즈 마할은 '궁정의 선택받은 자'라 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샤 자한 황제의 아버지이자 선왕인 자한기르가 직접 내려 준 이름이라고 한다.
황제들은 전쟁터로 떠나거나 장거리 원정에 오르면서 훗날 왕위를 물려받을 왕자를 데려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왕비를 전쟁터까지 데려가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일이 였다. 샤 자한이 왕비를 전쟁터까지 데려간 것음 뭄타즈 마할이 아내인 동시에 정치적인 조언자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데칸고원 지역에서 샤 자한이 전투를 벌이고 있을 때, 뭄타즈 마할 왕비는 근처의 야외 천막에서 14번째 아이를 낳은 뒤 열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몸시 사랑했던 왕비가 죽자 전쟁터에서 돌아온 샤 자한은 백성들에게 2년 동안 왕비를 추모하는 기간을 갖도록 했다. 슬픔에 빠져 죽은 왕비를 그리워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왕은 왕비를 영원히 기억할 수 있는 묘를 만드는데 몰두하기 시작했다.
1년에 걸친 고민 끝에 샤 자한은 아그라 성에서 가까운 야무나 강변에 사랑을 상징하는 건축물을 세우기로 결심 했고, 그렇게 시작된 타지마할 건설은 22년이 걸렸고, 마침내 그 어떤 건축물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건축물이ㅣ 모습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