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종대왕의 차남 수양대군의 평가

반응형

세종대왕의 차남 수양대군의 평가

 

 

 

왕이 되기 전 군호는 수양대군으로, 일반 대중에게는 이 명칭이 익숙하다. 1453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를 비롯한 반대파들을 학살한 후 조카 단종에게서 권력을 빼앗고 , 이후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이도 모자라 단종 복위를 노리던 사육신과 친동생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을 사사하고, 마지막엔 조카 단종마저 제거한 군주로 알려져있다. 1468년 지병으로 앓던 악성 피부병으로 병사했다. 당연히 조카의 저주란 말이 나돌기도 했다. 향년 52세.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조선 왕조의 기반을 마무리한 군주라는 평이 여러모로 엇갈리는 군주로 어떤 관점에서 볼것이냐에 따라 폭군, 패륜아에서 왕권 강화에 노력한 노련한 군주라는 평까지 그야말로 다양한 평을 받고 있다. 다만 폭군 꼬리표를 떼려면 치세나 업적이  저런 행적을 무마할 정도로 출중해야 하는데 세조의 치세는 나쁜 건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훌륭했다고 보기도 애매해서 재평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조선 시대 통틀어 가장 정통성이 부족한 군주였다는 점도 그의 평가를 낮추는데 일조하고 있다. 실제 집권 과정의 정통성 또는 정당성은 후대의 평가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이 정통성의 문제는 세조 본인에게도 문제이지만,  이후 국왕들에게 두고두고 발목을 잡으면서 조선의 왕권을 취약하게 만들어 신권이 왕을 견제 하다 못해 그냥 제대로 폭주하게 만들면서 조선을 쇠퇴시키고 끝내는 멸망으로 이끈 가장 큰 원인들 중 하나였다. 심지어 성종이나 선조 때도 왕권의 버팀목이 되어야 할 사람들 스스로 왕권 제어가 극심하였다.

 

 

이런 점이 꽤 두드러지는게 현대의 평가로 , 재밌는 점은 정권이나 정파에 따라 세조를 보는 관점도 다양하며, 한국의 현대사를 보면 세조와 비슷한 쿠데타로 정권을 획득한 사례라고 볼수 있는 5.16 군사정변, 12.12 군사반란 등으로 집권한 정권이 있던 시절엔 잔혹한 숙청을 저지르기는 했지만 권신들로부터 조선의 왕실을 지켜낸 필요악적인 존재라는 평가를 장기간 받기도 했었다. 허나 제대로 된 민주주의 정권이 들어선 1990년대 이후부턴 반대로 평가가 박해지기 시작했는데, 조금씩 그의 정변에 명분이 없다는 인식이 많이 퍼지기 시작하며 정변 관련 " 구국의 결단" 과 같은 이미지는 많이 사라진 편이고 더욱이 2010년대 들어서는 정변 뿐만 아니라 왕으로서 능력적인 부분에섣서도 잘못된 부분이 많았다는 평가가 대중들에게 많이 퍼졌다. 특히 젊은층을 중심을으로 아예 '군사 정권에 의해 거품만 잔뜩 낀, 정통성도 없고 업적, 인간성도 제로인 암군 정도로 급격히 격하되는 악평을 듣기도 한다. 군사정권시절 고평가의 반발로 과도하게 까이는 감도 있지만 그래도 이전에는 " 잔혹한 숙청과 그에 대한 정당성" 정도의 인식에 사람들이 머물렀던 반면 현재는 좀더 복합적으로 변하기는 하였다. 

 

 

그러나 역사는 어디까지나 사실의 근거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세조 치적의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는 왕권 강화에 기반을 다졌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었다. 흔히 세조를 태종에 비교 하는데, 세조와 태종은 명분과 그 행동 사이즈가 차이가 컸다. 특히 태종시절에 경우 재조가 방석을 세잘자로 앉히는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에 사실상 명분도 태종에게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태종은 이 명분을 치밀하고 착실하게 만들었다. 태종과는 다륵 세조가 단순히 배신자로서의 이미지가 강한 이유는 여기있다. 명분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단종의 정치 기반이 낮은것도 아니었다. 당시 조정에 충신만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세종과 문종때 워낙 잘 길을 닦아놔서 적정수준의 간신과 충신이 섞여 있었다. 단 2대째 장남이 이어가는상황) 단종 본인만 조심하면 문종 때까지 이어졌던 강화된 왕권이 흔들릴 이유도 없기 때문에 지지 기반을 보나 환경을 보더라도 더 나았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유일한 단점은 단종이 너무 어렸다는는 것인다, 그당시가 조선이 개국학하고 고작 5대째였다는 것을 감안해보자 성인은 아니지만 그렇게 적은 나이라 보기 힘들다. 물론 국정 수행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졌을 것이기에 좋은 스승이 있고 , 후원자가 있어야겠지만, 김종서가 깨끗한 후원자라고 할수는 없지만, 나쁜 후원자라 할수도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