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에 전말
1976년 8월 18일 판문점에서 일어난 대사건이다. 남북한에서 무력이 충돌한 끝에, 준전시 상태까지 간 사건이다. 즉 전쟁이 터지기 일보직전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북한이 남한에게 저지른 도발이야 많지만, 이 사건의 경우, 한국군도 아닌 주한 UN 장교를 살해하는 바람에 차원이 다른 사건이다. 따라서 중국과 소련도 북한을 두둔하지 않았다. 다행히 실제 전쟁으로 커지지 않았다.
당시 판문점은 별다른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는 단어 그대로의 공동경비구역이었는데, 한국군 측 3초소는 조선인민군육군 초소 3개소에 포위당한 지점에서 항상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래서 가장 고지대에 위치한 5초소 측에서 3초소를 지켜보고 있어야 했는데, 이 문제의 미루나무가 5초소의 시야를 방해하고 있었다. 8월 3일 주한UN군 경비대 작업반은 3초소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미루나무를 자를 것을 권고했다.
이에 8월 6일 노무자 4명과 UN군 4명이 미루나무 절단을 시도 했는데 이때 북한군이 이의제기를 하면서 작업을 중단시켰다. 그러자 경비대는 8월 18일 절단이 아닌 가지치기만 하기로 결정하고 오전 10시 30분 노무자 3명, 육군 장교 3명, 경비병 7명을 동원하여 가지치기 작업에 들어갔다.
이때 북한 육군 군관 2명과 하전사 8명이 나타나서 다시 이의제기를 하였다. 이에 UN군은 가지치기 작업을 하는 중이라 설명했고 이때 현장에 있던 북한군도 수긍하여 가지치기를 하는 노무자들에게 가지를 잘 치는 법에 대해 조언을 하는 등 가지치기 작업은 매우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그런데 10시 47분에서 50분 사이 갑자기 북한 육군의 박철 중위가 병력을 이끌고 현장에 나타나며 일이 이상하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박철 중위는 느닷없이 경비중대장 아서 보니파스 미 육군 보병대위에게 큰일 나기 싫으면 작업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당연히 보니파스 대위는 이를 무시하고 작업을 속행하도록 지시했고, 11시 30분에는 북한군 경비병의 숫자가 30명으로 크게 증강되었다. 박철 중위는 "그만두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2차 위협을 가했으나 보니파스 대위는 재차 이를 무시했다.
그러자 박철 중위가 소매를 걷고 차고있던 손목시계를 호주머니에 넣으며 부하들에게 신호를 보내자 북한 육군 경비병들은 일제히 소매를 걷었고 박철 중위는 즉각 "죽여!"라고 소리 지르며 보니파스 대위를 걷어차 폭행을 가했다.
다른 북한군들은 주먹과 곤봉을 이용해 UN군 장병들을 상대로 마구잡이식 폭행을 가했으며 노동자들이 달아나면서 버려진 벌목도끼로 아서 보니파스 대위의 머리를 찍어 살해했다. 여러 병사들이 부상을 입었으며 보니파스 대위뿐만 아니라 소대장 고 마크 배럿 미 육군 보병중위도 현장에서 참혹하게 살해 당했다.
박병엽 전 조선노동당 고위간부의 증언록에 의하면 당시 북한 국가주석인 김일성이 아닌 김정일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었다고 한다. 당시 북한은 김정일이 후계체제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이었고, 김정일이 전국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통제하고 있었다. 김정일은 당시 미루나무 가지치기를 한다는 보고를 받고 "조선 사람의 본때를 보여주라." 라고 지시했다. "단 , 남조선 노무자들은 건드리거나 총을 쓰지말고 미국 놈들에게 본때를 보여줘라."라고 말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