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
시조 동명성왕은 성은 고씨요, 이름은 주몽이다. 고주몽의 탄생 경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부여왕 해부루는 나이가 많도록 아들이 없어, 명산대천에 빌어 아들 낳기를 발원하였다. 어느 날 해부루가 타고 있던 말이 곤연 연못가에 이르러, 큰 돌을 마주보고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상하게 여겨 부하들로 하여금 그 돌을 밀쳐보라 하였다.
그 돌 밑에는 노란 개구리 모양을 한 어린아이가 있었다.
"이것은 분명 하늘이 내려주신 내아들이다."
왕은 기뻐하며 아이를 궁중으로 데려가 황금 개구리란 뜻으로 이름을 금와라고 하였다. 그 아이가 점점 자라자 태자로 삼았다. 그 뒤에 아란불이라는 재상이 천도 할 것을 아뢰며 이런 말을 하였다.
"요새 하느님이 내게 현몽하여 말하기를 '장차 내 자손으로 하여금 이땅에 나라를 세우게 할 것인즉, 너희는 속히 피해 가라. 동해가에 가면 가섭원이라는 땅이 있어, 토지가 비옥하고 농사짓기에 알맞으니 그곳으로 가서 도읍을 정하라.'고 하였습니다. "
왕은 마침내 그곳으로 천도하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 하였다. 예전 도읍지에는 어디서 왔는지 알수 없는 사람이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자칭하고 도읍을 정하였다. 해부루가 죽고 금와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금와왕은 마침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 사냥하러 갔다가 미모의 한 여성을 만났다.
그 여성이 동명성왕의 어머니 유화였다. 당시 유화는 해모수와의 관계로 귀양 중이였으며 얼마후 태기가 있어 닷되들이 만한 크기의 알을 낳으니 금와왕은 상서롭지 못하다 하여 그 알을 버리라고 명령하였다.
처음에 그 알을 개 돼지에게 주었으나 모두 먹지 않는지라 길바닥에 버렸더니 소와 말도 그 알을 밟지 않고 피해 갔다. 마지막으로 들판에 버렸더니 새가 날개로 알을 품었다. 왕이 더욱 이상히 여겨 그 알을 깨뜨리려 하였으나 깨지지 않아 도로 유화에게 갖다 주었다.
유화가 그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얼마 동안 놓아두자 한 사내아이가 알을 깨고 나왔다. 그 아이의 생김이 비범하고 영특하여 나이 7살에 제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 속담에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고 하였기에 이 아이도 주몽이라 이름 붙였다.
금와왕에게는 아들 7형제가 있었는데 주몽과 함께 놀이를 하면 7형제 모두가 주몽을 따르지 못하였다. 왕자들과 신하들에게 음모로 주몽을 없애려고 하자 이를 눈치 챈 유화가 주몽에게 해를 당하기 전에 멀리 가서 뜻을 펼치라며 주몽에게 떠나라고 말한다.
주몽은 뜻이 맞는 몇 사람과 함께 길을 떠났다. 군사들에게 쫒기던 중 간신히 죽음을 면하게 되고 주몽 일행은 모둔곡에 이르러 세 사람을 만났다. 한 사람은 마의, 한 사람은 납의, 또한 사람은 수조의를 입고 있었는데 생김새가 비범해 보였다.
주몽이 자신을 따르는 무리에게 말하였다.
"내가 바야흐로 대명을 받들어 국가의 터전을 닦으려는 이때 마침 이 세 사람을 만나게 되었으니 어찌 하느님의 돌보심이 아니겠는가."
주몽은 그들의 재능을 헤아려 각자 임무를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렀다. 토지가 비옥하고 강산이 험해 도읍을 정할 땅으로 적합하였으나 미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었다. 이 때문에 비류수위에 살며,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성을 고( 高 )씨라 하였다.
이때 주몽의 나이는 22세였다. 한효원제의 건소 2년이 되는 해이자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21년 갑신년이었다. 사방에서 이 소문을 듣고 몰려드는 사람이 많아 , 차차 국가의 기틀이 잡히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