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탄치 않은 인현왕후의 생애
조선 제 19대 숙종의 계비, 기사환국 때 폐서인이 되었다가 갑술옥사로 다시 왕후로 복위하였다. 그를 주인공으로 하여 궁녀가 쓴 소설(인현왕후전)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성은 민씨이고, 본관은 여흥이며, 존호는 효경숙성장순, 휘호는 의열정목이다. 형조판서 등을 지낸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딸로서 1681년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숙종은 세자로 책봉되고 김만기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숙종이 왕으로 등극하자 김씨는 인경왕후가 되었다.
하지만 인경왕후가 천연두로 20세에 사망하자 인현왕후가 숙종 비로 간택되었던 것이며 그녀의 나이 15세였다.
인현왕후 민씨의 집안은 서인으로 당시 조정의 실권은 서인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숙종은 궁녀 장옥정을 좋아하여 인현왕후 민씨를 멀리하였다. 당시 장옥정은 숙종의 어머니인 명성왕후 김씨에 의해 궁에서 쫓겨나 궐밖에서 살고 있었지만 숙종은 항상 장옥정을 마음에 두고 있었다. 장옥정은 서인과 정치적으로 대립세력이었던 남인에 속했기 때문에 견제를 받아 후궁으로 머물수가 없었다. 하지만 1683년 명성왕후 김씨가 세상을 뜨자 숙종은 1686년 3년 상을 마치고 장옥정을 다시 궁으로 불러 후궁으로 삼았다. 당시 정치적으로는 서인의 영수이자 숙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던 김석주가 사망하고 민씨의 아버지 민유중도 세상을 뜨자 8년간 집권했던 서인의 세력이 약화 되었다.
숙종 또한 왕권을 능가하는 권력을 가진 서인에 염증을 느끼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남인을 등용하였다.
1688년 장씨가 왕자 윤 뒷날의 경종을 낳자 윤을 세자로 책봉하려 하였다. 왕자 윤의 세자 책봉을 반대했던 서인들은 숙청되기 시작했고 이문제로 1689년 기사환국이 일어나 서인이 정계에서 완전히 밀려나고 인현왕후도 폐위되어 궁중에서 쫓겨나 서인이 되었다. 1693년 무수리였던 최씨가 숙종의 아이를 잉태하자 장씨에 대한 숙종의 총애도 시들애지기 시작했다. 또한 국정을 운영하는 남인에 대한 실망감도 커져갔다. 이런 상황에서 1694년 남인이 주도하는 역모사건이 고변되었고 갑술옥사가 일어나 서인 소론 세력이 다시 정치적 실세로 등용되었으며, 그해 4월 마침내 폐서인되었던 민씨도 왕후로 복위하였다. 1701년 사망하였는데 소생이 없었으며, 능은 경기도 고양의 명릉 이다.
인현왕후를 주인공으로 하여 궁녀가 쓴 소설 (인현왕후전)이 전하는데, 인현왕후를 유교적 덕목과 인품을 갖춘 여인으로 그려내고 있다. 반면 숙종실록에는 희빈장씨가 왕자 윤을 출산하자 이로 인한 시기와 질투로 숙종과 관계가 멀어진 것으로 기록 되어 있다.